자자
지금까지의 포스트가 켈트의 초기신화시대 입니다.
아일랜드 신화를 정리하는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아래와 같은 네 가지 시대로 구분하는 것인데요,
신화 시대 The Mythological Cycle 최초로 에린을 통치한 여섯 종족의 이야기. 침략의 서의 내용이 중심이 되며, 괴물과 마법 등 신화적인 색채가 강합니다.
얼스터 시대 The Ulster Cycle 울라Ulaidh 지방을 중심으로 한 영웅담. 쿠훌린Chuchlain의 이야기가 대표적이며, 중심이 되는 이야기는 "틴 보 쿨리Tain Bo Cuailnge(쿨리의 소 훔치기 The Cattle Raid of Cooley)"입니다.
페니안 시대 The Fenian Cycle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전설적인 영웅들인 페니안(혹은 휘안나Fianna)들을 소재로 한 영웅담. 페니안의 리더인 핀 막 쿠빌Fionn mac Cumhaill, 그의 아들인 퍼거스Fergus와 오신Ossian, 그리고 그의 심복 키일리Caoilte 등 다채로운 인물들이 등장하며, 그 내용도 다양합니다.
역사 시대 The Historical Cycle 왕들의 시대The Kings Cycle이라고도 불린다. 아일랜드의 역사적인, 혹은 반(半) 역사적인 왕들의 이야기. 주로 기원 후부터 중세까지의 사건들을 다룹니다.
오검 문자라는 문자가 엄연히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대 아일랜드 인들은 신화를 글로 기록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나봅니다. 그래서 신들과 영웅들, 훌륭한 왕들의 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습니다.그 기록 수단은 드루이드였고요. 신화와 역사(고대 아일랜드 인들에게 이 두 가지는 별개의 것이 아니었으므로)를 정확히 암기하고 입으로 전수할 수 있는 능력은 드루이드의 기본 요건 중 하나였습니다.
드루이드가 되기 위해서는 바드(bard), 즉 음유시인과 오바테(ovate), 즉 주술사 겸 의사의 교육 과정을 전부 완수해야 했는데, 바드가 되기 위한 교육에는 철학과 시학, 작문 외에도 수백 가지의 노래와 서사시를 암기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암기 교육은 10여 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철저히 행해졌고요.
따라서 5세기 경 기독교의 전파로 드루이드 계층이 사라지자, 신화와 역사 역시 함께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몰락한 바드들이 신화와 역사를 전하는 임무를 불완전하게 물려받았고요. 본래 아일랜드의 바드라 불리는 아일랜드의 음유시인은 오바테와 드루이드와 함께 재인 계층(men of arts)에 속하여 존경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이 시기에는 현대인이 흔히 상상하는 떠돌이 음유시인에 불과한 매우 초라한 존재로 변했습니다. 엄격한 교육 과정을 거쳐 정확한 형태로 전달되던 이야기들은 이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누락되고 덧붙여지고 변형되어, 수많은 버전들이 생겨났습니다.
7세기 경, 아일랜드의 수도사들이 이렇게 전해지는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문서로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그러나 이미 구전되던 이야기들은 정신없이 곁가지를 쳐 정전(定典)을 분간할 수 없게 된 후였죠. 어떤 버전을 택하고 어떤 버전을 버리느냐는 오로지 편집자인 수도사의 자의에 맡겨질 수밖에 없었기에, 이 일은 신화를 보존하는 작업인 동시에 신화를 버리는 작업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직업의 특성상, 적지 않은 수도사들이 이곳 저곳에 기독교적인 이야기를 첨가하는 웃지 못할 사태도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의해 남겨진 자료들은아일랜드 켈트 족의 신화와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거의 유일한 자료이며, 역사적으로도 예술적으로도 보물이라 할 만한 대작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중 유명한 예로는 켈스의 서The Book of Kells, 침략의 서The Book of Invasions(1), 네 왕의 연대기The Annals of Four Masters, 울스터 연대기The Annals of Ulster 등을 들 수 있다.
1) 침략의 서The Book of Invasions의 원제는 레보르 가발라 에렌Lebor Gabala Errean으로, 직역하면 "에린 정복의 서The Book of the Conquest of Ireland"입니다. 12세기에 쓰여진 이 책은 켈트 신화와 전설은 물론, 아일랜드의 초기 역사와 고고학에 대한 가장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고 있고, 아일랜드를 차례로 점령한 여섯 민족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아일랜드 신화 시대를 연구한 거의 모든 자료들은 이 책에 기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가치가 높습니다.
'켈트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아하 데 다난] 1-1. 피르 볼과의 전투 (1) | 2006.08.26 |
---|---|
[본문스크랩] 오검문자 (3) | 2006.04.30 |
켈트신화 - 피르볼그족 (2) | 2006.04.30 |
켈트신화 - 네베드족 (2) | 2006.04.30 |
켈트신화 - 반족, 파르홀론족 (5) | 2006.04.30 |